항공안전 개요

1. 항공안전의 정의 및 필요성

  • 항공안전(Aviation Safety) 정의
    - 항공 활동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인명 및 재산 피해의 위험도(Risk)를 허 용 가능한 수준 이하(ALoSP)로 지속적으로 통제하고 관리하는 체계적 상태를 의미
    - 이는 사고가 발생하지 않는 단순한 상태가 아니라, 위험요소(Hazard) 의 지속적 식별과 위험도 평가(Risk Assessment), 그리고 이에 대한 체계적 통제를 포함하는 능동적 관리 개념
  • 항공안전의 3대 핵심 필요성
    - 고위험 산업 관리 : 고속, 고도, 복잡성이 높은 시스템으로, 사고 발생 시 피해 규모가 막대하여 엄격한 관리가 필수적
    - 산업 신뢰 기반 : 안전은 항공운송산업의 지속 가능성과 대중의 신뢰를 유지하는 핵심 기반
    - 국제적 정합성 : ICAO SARPs(표준 및 권고 관행)의 국가별 의무 이행 이 요구되며, 이는 곧 국제선 운항 자격과 직결

출처: ICAO Doc 9859, 4th Ed (2018), 국토교통부 「항공안전법」 제2조

2. ICAO 안전 관리의 핵심 요소 (SMS 4대 구성)

ICAO는 모든 항공 관련 조직이 ‘안전관리시스템(Safety Management System, SMS)’ 을 구축·운영할 것을 규정하고 있으며, 이는 4개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짐

구성요소 핵심활동 설명
1. 안전정책 및 목표 (Safety Policy) 안전목표 설정, 역할과 책임 명 확화 최고경영진의 리더십과 안전문 화(Safety Culture) 확립, 공정문 화(Just Culture) 조성
2. 안전위험관리 (Safety Risk Management, SRM) 위해요소 식별 및 위험도 평가 위험 발생 가능성과 심각도를 분석하여 경감 조치 수립
3. 안전보장 (Safety Assurance, SA) 성과모니터링 및 감사 안전활동의 효과성 평가, 시정 조치(CAP) 관리
4. 안전증진 (Safety Promotion) 교육·훈련 및 소통 안전의식 제고 및 정보 공유를 통한 조직 역량 강화

출처: ICAO Doc 9859 Ch.3, Annex 19(2nd Ed, 2016)

3. 글로벌-국가 항공안전 정책 체계

항공안전 정책은 글로벌(GASP) → 지역(RASP) → 국가(NASP/SSP) → 사업자(SMS)로 이어지는 다층적 구조로 작동

계층 주요 내용 문서
GASP
(Global Aviation Safety Plan)
전 세계 항공안전 목표 설정 ICAO Doc 10004
RASP
(Regional Aviation Safety Plan)
지역 항공안전계획 ICAO Regional Office Plan
NASP
(National Aviation Safety Plan)
국가항공안전계획 국토교통부 NASP(2025)
SSP
(State Safety Programme)
국가 안전관리체계 ICAO Annex 19
SMS
(Safety Management System)
사업자 안전관리체계 ICAO Annex 19, Doc 9859

출처: ICAO GASP 2023–2025, 국토교통부 NASP(2025).

국가안전관리제도 및 감독체계

1. SSP와 SMS의 관계

  • - SSP(State Safety Programme)는 국가 차원의 항공안전관리체계로, 정책·감 독·성과평가를 담당
  • - SMS는 항공사·공항운영자·정비조직 등이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안전관리시 스템
  • - 두 체계는 상호 보완적으로 작동하며, SSP는 SMS의 이행상황을 평가·지원 하는 구조
구분 SSP SMS
수준 국가 조직
주체 국토교통부, 항공안전기술원 항공사, 공항운영자, 정비조직 등
기능 정책수립·감독·성과평가 위험식별·평가·경감조치
근거문서 ICAO Annex 19 ICAO Doc 9859

출처: ICAO Doc 9859 Ch.2.5, Annex 19 (2016).

2. 대한민국 항공안전 행정체계

대한민국의 항공안전은 주무부처인 국토교통부를 중심으로 전문 기관들이 각자의 역할을 분담하여 SSP를 운영

구분 기관 주요 역할 관련법령
주무부처 국토교통부 SSP 수립·시행, 감독·정책 총괄 항공안전법
전문기관 항공안전기술원 (KIAST) SMS 기술지원, 데이터 분석, ASMS 운영 항공안전법 제19조
조사기관 항공철도사고 조사위원회(ARAIB) 항공사고 조사·원인 규명 항공철도사고조사법
감독지원 한국교통안전공단 (TS) 안전감독 지원, 자율보고 분석 교통안전공단법

출처: 국토교통부 SSP 운영지침(2025).

3. 법령 및 감독체계

  • 항공안전 감독은 「항공안전법」 및 하위법령을 근거로 수행되며, 다음 원 칙을 따른다.
  • 감독 원칙
    - 위험기반감독(RBO, Risk-Based Oversight): 위험도가 높은 사업자 또는 분야에 감독자원을 집중
    - 성과기반감시(PBSS, Performance-Based Safety Surveillance): SPI기반으로 실제 성과를 평가
  • 감독 절차
    - 인증 (Certification) : 사업자가 법적 요건을 충족하는지 최초 확인
    - 감사/감시 (Surveillance) : 정기·비정기 감사 및 점검을 통해 법규 준수 및 SMS 작동 여부 확인
    - 시정 조치 (Corrective Action Plan, CAP) : 발견된 결함에 대한 개선계획 수립 및 이행 확인
    - 개선이행 (Follow-up / Verification of CAP) : 수립된 시정조치 계획(CAP)을 실제로 실행하고, 그 결과가 효과적인지 확인하여 부적합 사항이 완전히 해결되었음을 입증

출처: ICAO Doc 9734, 국토교통부 감독지침(2024)

핵심 분야별 안전관리

1. 운항 안전 관리 (Flight Operations Safety)

  • - 핵심목표:조종실운항중인적오류및환경요인으로인한사고예방
  • - 주요위험: LOC-I(조종불능), CFIT(지형충돌), RE(활주로이탈)
  • - 통제활동: FOQA/FDM(비행자료분석), FRMS(피로위험관리), LOSA(정규운 항감사)
  • - 근거: ICAO Annex 6, Doc 10011.

2. 정비 및 감항성 관리 (Maintenance & Airworthiness)

  • - 감항성 정의: 항공기가 비행에 적합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계·정비·운영을 관리하는 체계
  • - CAMO 제도: 지속감항성관리조직(CAMO)이 정비기록·부품·품질보증을 담당
  • - 오류보고: Maintenance Error Decision Aid(MEDA) 기반 결함분석
  • - 근거: ICAO Annex 8, KAS Part 145

3. 공항 운영 안전 (Aerodrome Safety)

  • - 주요 위험 : RWS (활주로 침입, 이탈), FOD (이물질 손상), 지상 조업 사고
  • - 핵심 활동 : 공항 운영자 SMS 구축, 활주로 및 계류장의 주기적 점검, 비 상 대응 계획(ERP) 운영
  • - 근거 문서 : ICAO Annex 14, 국토교통부 고시 「항공안전관리규정 (MOA)」

4. 항공교통 서비스 안전 (Air Navigation Service Safety)

  • - 주요 활동: CNS/ATM (통신, 항법, 감시, 관제) 시스템의 안전성 및 신뢰 성 확보, ATFM (항공교통 흐름 관리) 운영
  • - 근거 문서 : ICAO Annex 10, Annex 11

5. 신기술 및 리스크 대응

신기술 도입에 따라 새로운 위험요인이 등장하고 있음

분야 주요 내용
UAM·드론 DUSS 기반 공역관리, 인증·실증사업 추진
AI/빅데이터 FDM 기반 예측정비, 위험패턴 분석
사이버보안 Doc 10119 기반 항행시스템 보호 기준
기후리스크 이상기후 대응 매뉴얼, 조기경보체계 구축

[ 출처: ICAO Doc 10115, Doc 10119, 국토교통부 K-UAM 로드맵(2024)]

안전성과 평가 및 시스템 연계

1. ICAO USOAP CMA 및 대한민국 성과

  • - USOAP CMA (Continuous Monitoring Approach) : ICAO가 회원국의 항공 안전 감독 역량을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평가하는 프로그램
  • - 평가 요소 : 8개 핵심 요소(CE1~CE8)를 기준으로 법규 제정부터 감독관 훈련 및 시정 조치 이행까지 전 과정을 평가
  • - EI (Effective Implementation) : ICAO SARPs가 해당 국가에서 얼마나 효과 적으로 이행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백분율 점수
  • - 대한민국 EI 성과 : 95% 이상의 높은 EI 수치(2023년 기준)를 유지하며, ICAO 상위 10위권에 속하는 세계 최고 수준의 안전 감독 역량을 입증

출처: ICAO CMA Online Framework(2024)

2. SPI/ALoSP 개념 및 국내 지표

안전 성과를 객관적으로 측정하고 관리하기 위한 핵심 지표 및 목표치

구분 정의 예시
SPI
(Safety Performance Indicator)
안전성과를 측정하는 정량지표 백만회 비행당 사고율, 활주로침입률
SPT
(Safety Performance Target)
목표 수준 중대사고 발생률 10% 감소
ALoSP
(Acceptable Level of Safety Performance)
허용 가능한 최소 안전수준 SPI 임계치 이하 유지

출처: ICAO Doc 9859 Ch.4, 국토부 SSP/NASP(2025).

3. 국가 항공 안전 정보 시스템 연계 흐름

대한민국의 항공안전정보는 ASMS → NARMI → K-RION으로 이어지는 통 합 데이터 체계로 운영

시스템 운영주체 주요기능 사용자
NARMI
(국가항공안전정보 관리시스템)
국토교통부 SSP 기반 국가안전정보 통합관리 감독관, 정책 담당자
ASMS
(항공안전관리시스 템)
항공안전기술원 자율보고·위험분석·교육 콘텐츠 제공 사업자, 종사자
K-RION
(항공위험정보공유 망)
항공안전기술원 (위탁) Ramp Inspection, 위험기반감독 지원 감독관, 현장요원

출처: 국토교통부 SSP 운영자료(2025), ICAO Doc 9859.

항공안전 자료실

1. 주요 문서 및 보고서

구분 문서명 주요내용 출처
국내 법령 항공안전법 및 시행 령·규칙 항공기 운항·감항성·감독기준 법제처
ICAO 표준 Annex 19 (Safety Management) SSP·SMS 표준 ICAO
ICAO 지침 Doc 9859 (Safety Management Manual) SMS 구축·운영 실무 ICAO
국내 보고서 ARAIB 사고조사보고서 국내 사고·권고사항 ARAIB 공식 웹사이트
해외보고서 IATA, ICAO, EASA Annual Safety Report 글로벌 사고통계·트렌드 (EASA)Annual Safety Review (IATA) Annual Safety Report (ICAO) Safety Reports

2. 항공안전 용어

No. English Term Korean Term Description
1 Accident 항공사고 사망·중상 또는 기체 손상이 발생한 사건
2 Accident Investigation 사고조사 항공사고의 원인 및 재발방지 조사
3 Airworthiness 감항성 항공기가 비행에 적합한 상태
4 ATS Service Provider 항공교통업무기관 항공교통업무를 제공하는 기관을 말하며, 그 업무 범위는 항공교통 관제업무, 항공교통 흐름관리업무, 비행정보업무, 경보업무를 포함함
5 Aviation Safety Reporting System(ASRS) 항공안전보고시스템 FAA의 자발적 안전 보고 제도
6 Cabin Safety 객실안전 기내 승객 및 승무원 안전 관리
7 Confidential Reporting 익명보고 신분 보호 기반 위험정보 보고제도
8 Consequence 발생결과 항공기사고, 항공기준사고, 항공안전장애 등의 결과로 나타난 부정적 영향으로 인명피해 정도, 항공기파손 정도, 기타 그 밖의 영향 등을 의미
9 Controlled Flight Into Terrain(CFIT) 지형에의 의도치 않은 비행 조종 중 지형과 충돌하는 사고
10 Corrective Action Plan(CAP) 시정조치계획 문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 조치 계획
11 Emergency Locator Transmitter(ELT) 비상위치송신기 사고 시 위치를 알리는 비상 장비
12 Emergency Response Plan(ERP) 비상대응계획 사고 시 조직의 대응계획
13 Fatigue Risk Management System (FRMS) 피로위험관리체계 피로로 인한 안전저해 방지 시스템
14 Flight Data Monitoring(FDM) 비행자료분석 비행기록 기반 이상 징후 탐지
15 Hazard 위해요소 항공기 사고, 항공기 준사고 또는 항공안전장애를 발생시킬 수 있거나 발생가능성의 확대에 기여할 수 있는 상황, 상태 또는 물적・인적요인등을 말함
16 Human Factors 인적요인 인간의 성과·오류·행동이 안전에 미치는 영향
17 Incident 항공사건 사고는 아니나 안전을 저해한 사건
18 Just Culture 공정문화 비고의적 오류는 처벌하지 않는 안전 문화
19 Korea Accident Investigation Management System (KAIMS) 항공사고조사 통합관리시스템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가 항공기사고 및 항공기준사고 등에 대한 조사결과를 기록·관리하는 전자시스템
20 Line Operations Safety Audit (LOSA) 정규운항 정규운항 안전감사 조종사 실제 운항 중 관찰을 통한 감시
21 Loss of Control In-flight(LOC-I) 비행 중 조종불능 사고 조종 불능으로 추락 등 발생
22 Mandatory Reporting System 의무보고체계 법적으로 반드시 보고해야 하는 체계
23 Mid-air Collision 공중충돌 비행 중 항공기 간 충돌 사고
24 NARMI 통합항공안전관리 시스템 국토교통부장관이 법에 따른 항공안전 활동의 과정 및 결과 등으로 생성된 안전데이터를 저장·기록하는 전자시스템
25 Non-Punitive Reporting 비처벌 보고 처벌 우려 없이 문제를 보고할 수 있는 시스템
26 Occurrence Reporting 항공안전보고 항공사고·사건에 대한 공식 보고 절차
27 Operational Hazard 운항위해요소 운항 중 마주칠 수 있는 위험 요소
28 Operational Safety 운항안전 운항 수행 중의 실질적 안전 확보
29 Performance-Based Oversight (PBO) 성과기반감독 실적 중심의 안전감독 방식
30 Predictive Safety 예측안전 위험을 사전에 예측하고 대응하는 전략
31 Probability 발생가능성 항공안전 위해요인이 발생할 수 있는 확률(발생빈도)
32 Ramp Safety 지상조업안전 정비·주기 중 발생 위험 관리
33 Risk 위험 위해요소의 발생 가능성과 영향의 조합
34 Risk Assessment 위험도 평가 항공안전위해요인의 발생가능성과 심각도의수준을 분석하여 위험도 정도를 도출하는 과학적・체계적 평가 방법
35 Risk Mitigation 위험도 경감 위해요인의 예상된 결과치에 대한 발생가능성 또는 심각도를 낮추기 위한 예방적 통제 또는 회복조치 또는 통합적방어과정을 말함
36 Root Cause Analysis 근본원인분석 문제의 본질적인 원인 규명
37 Runway Safety 활주로안전 활주로 내 충돌·이탈 방지 대책
38 Safety 항공안전 항공기 운항에 관련된 위험도(risk)를 경감시키고 허용 가능한 수준 이하로 관리하는 상태
39 Safety Assurance(SA) 안전보장 안전활동 성과 점검 및 개선
40 Safety Audit 안전감사 SMS 또는 조직의 안전 시스템 정기점검
41 Safety Bulletin 안전정보서한 주의·조치 필요 사항의 안내 문서
42 Safety Culture 안전문화 조직 구성원이 공유하는 안전 가치와 태도
43 Safety Data 항공안전데이터 항공안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건, 상태 또는 상황과 관련하여 수집된 정보로서, 항공기,항공종사자,항공안전업무종사자또는항 공시설등에관한안전정보
44 Safety Information 항공안전정보 항공안전데이터를 안전관리 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가공・정리・분석한 것을 말함
45 Safety Information Protection 안전정보 보호 보고자 신원과 데이터의 보안 유지 원칙
46 Safety Management System(SMS) 항공안전관리 시스템 국가항공안전프로그램(SSP)에 따라 자체 안전관리를 위하여 요구되는 조직, 책임과 의무, 안전정책, 안전관리절차 등을 포함하는 안전관리 체계
47 Safety Objective 안전목표 SSP 또는 SMS을 통하여 이루고자 하는 안전달성도 목표값
48 Safety Oversight 안전감독 정부·감독기관의 안전관리 감독
49 Safety Performance Indicato(SPI) 안전성과지표 안전성과를 모니터링하고 평가하는데 사용되는 정량적 안전관리 성과지표
50 Safety Performance Target(SPT) 안전성과목표 안전성과지표에 대하여 국가 또는 항공교통업무기관이 달성하기 위해 계획한 목표치
51 Safety Policy 안전정책 조직이 바라는 안전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과 이행절차
52 Safety Promotion 안전증진 교육, 소통, 안전문화 확산 활동
53 Safety Requirement 안전요건 안전성과지표 및 안전성과목표의 달성을위한 기준, 방법, 수단 및 절차
54 Safety Risk 위험도 항공안전 위해요인이 항공안전을 저해하는 사례로 발전할 가능성(Probability)과 심각도(Severity)를 말함
55 Safety Risk Management(SRM) 안전위험관리 위해요소 식별 → 평가 → 완화
56 Safety Risk Probability 안전위험 발생확률 위험이 실제로 발생할 가능성
57 Safety Risk Severity 안전위험 심각도 위험 발생 시의 피해 수준
58 Severity 심각도 항공안전 위해요인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피해 또는 치명 정도
59 State Safety Program (SSP) 국가안전계획 국가 차원의 항공안전 감독 시스템
60 Surveillance Program 감시프로그램 정기적인 안전활동 관찰 및 점검
61 Systemic Safety 체계적 안전 조직 전체 시스템 관점에서의 안전 확보
62 Threat and Error Management (TEM) 위협 및 오류 관리 조종실 운영에서 위협과 오류 관리 기법
63 Type of occurrence 발생유형 항공기사고, 항공기준사고, 항공안전장애 등이 나타난 형태
64 Voluntary Reporting System 자발적 보고체계 자율적 위험 보고 유도